흔히들 배우는 문장 형식이
1형식: SV (주어+동사)
2형식: SVC (주어+동사+(주격)보어)
3형식: SVO (주어+동사+목적어)
4형식: SVOiOd (주어+동사+간접목적어+직접목적어)
5형식: SVOOp (주어+동사+목적어+목적격보어)
이런식이지?
내가 배웠던 건 7형식이었지만 익숙한 5가지 형식으로, 쉬운 문장을 통해서 설명을 해볼까 함.
일단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가장 주된 목적은 어떤 개체(an entity), 즉 물건이나 사람, 개념, 생각의 속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거야. 문장에서 설명의 대상이 되는 게 바로 주어(S, Subject)지. 그리고 대부분 문장 맨 앞에 온다. 즉,
The sun shines. <- 태양이 빛난다.
(태양의 '빛나는' 속성을 설명하고 있음)
John is handsome. <- John은 잘생겼다.
(John의 '잘생긴' 속성)
Love is and open door. <- 사랑은 열린 문이다.
(사랑이라는 추상적 개념의 속성. 여기서는 비유적임)
On the sideways stood a man. 처럼 도치된 구문(문장 순서가 바뀜)이나 It seems that he looks like Nozzang.처럼 가주어-진주어 구문도 있는데 이건 설명하려면 너무 길어지니 일단 패스. 시간나면 한번 써보겠다.
그 다음으로는 목적어(O, Object)가 있는데, 이 목적어는 주어를 한 개체로 보았을 때 두 번째(4형식일 경우 세 번째 역시 목적어)개체로써 문장 내에 존재해. 쉽게 말해서 주어와 다른 개체가 어떤 관계가 있는데, 그 관계의 목적이 되는 개체라는 거지. 그리고 목적어는 주어가 가리키는 어떤 개체와는 완전히 달라야 목적어의 지위를 가질 수 있어. 예를 들자면
Jack likes Jill. <- Jack은 Jill을 좋아한다.
(Jack과 Jill은 완전히 다름, 그리고 Jack과 Jill의 관계는 Jack이 Jill을 좋아하는(like) 관계)
Most of the people hate an ilbe-worm. <- 대부분의 사람들은 베츙이를 싫어한다.
(Most of the people과 an ilbe-worm은 완전히 다름, Most of the people이 an ilbe-worm을 싫어하는(hate) 관계)
그런데
John is handsome. <- John은 잘생겼다. (John의 '잘생긴' 속성).
이 문장에서 handsome은 목적어가 아니야. 목적어 자리에는 형용사가 올 수도 없거니와 잘생겼다(handsome)는 건 John과 완전히 같지는 않을지라도 John의 순수한 속성 중 하나이기 때문이지.
이번엔 보어(C, Complement)에 대해서 설명.
위에서 첫번째 개체인 주어와, 그 이후에 등장하는 개체(들)인 목적어가 있다고 했어. 보어란 주어나 목적어의 속성을 설명해주는 말이야.
이해하기 쉽게 위에 있는 문장을 가져와보자.
John is handsome. <- John은 잘생겼다.
(John의 '잘생긴' 속성을 설명하고 있음)
그리고 목적어의 속성도 설명하는데 이건 5형식 문장인 SVOOp 에서 나타나지. (Op <-Objective predicative(=complement), 즉 목적격 보어).
She believes him an ilbe-worm. <- 나는 그가 베츙이인 것을 믿는다.
(그 녀(She)는 첫번째 개체 즉 주어, him은 목적어인데 왜냐하면 she와 him은 가리키는 바가 다르기 때문임. An ilbe-worm은 세번째 개체로써 목적어인 him과 가리키는 바가 같음. 따라서 him의 속성을 설명하는 (목적격)보어. 그리고 She와 him과의 관계는 She가 him을 believe하는 관계인데, 이 믿는 행위(believe)는 him의 속성이 바로 an ilbe-worm이라는 것임.)
You'll find it boring. <- 너는 그게 지루하다는 걸 알게 될거야.
(너 는(You)은 주어, 그것(it)은 You와 같지 않으므로 목적어. boring은 it의 속성이 boring하다는 것을 설명해주므로 목적격 보어이다. 목적어와 목적어의 속성(it이 boring하다는 것)을 You가 알게 될 것(will find)이라는 관계이다.)
말이 좀 복잡해도 한두번 읽어보면 이해가리라 생각한다.
주어/목적어는 수많은 구(phrase)나 단어들이 될 수 있는데, 명사구(일반 명사도 포함)와 전치사구, 동명사구, to부정사구(명사적 용법)들이 있다.
(1) 명사구(noun phrase): 단일명사로 이루어지거나, 한정사(determiner)가 붙거나 수식어(전치수식/후치수식)의 수식을 받는 명사.
e.g.) Rome(단일명사), The sun, which thing, whatever choice, all the people(한정사+명사), a baby in the basket, a room available, the riot which was started in May 18, an exam finished in 10 minutes (후치수식-뒤에서 명사 수식), a beautiful girl, a newspaper reporter(전치수식-앞에서 명사 수식).
: ~한 entity. 모두 entity인 명사의 속성을 설명해주고 있어. ____한 단어가 명사.
(2) 전치사구 (prepositional phrase): 전치사(그림 참조)가 phrase의 맨 앞에 있는 형태.
e.g.) In the midnight summer, after dinner: 한여름 밤에, 저녁 후에. ____한 단어가 전치사.
(3) 동명사구(gerund): 동사+ing형태로, 현재진행형이 아님을 알아두길 바래.
e.g) Passing the exam, playing the guitar, doing her: (행동)하는 것은~
(4) to부정사구(to-infinitive phrase): 시제(tense)가 없는 phrase야. 과거인지 현재인지 알 수 없다는 이야기지.
e.g) To go to the school, (To) let her in, To practice: (행동)하는 것은~
여 기서, to 부정사와 동명사는 뉘앙스와 쓰임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. 간단히 말하면 동명사는 말해지는/씌어지는 시점에 이미 일어났거나 일어나고 있는 일이고, to부정사는 그 시점에 일어나지 않은 일, 즉 앞으로 일어날 일이라는 거야. 좀 더 미래지향적이라는 이야기야(미래시제라는 이야기는 아님).
또 보어 자리에는 형용사, to부정사구(형용사적 용법)등등이 들어갈 수 있다. 이건 여기까지만 언급하겠다....
마지막으로 술어(Predicate, 형식에서는 V, 즉 동사(Verb)로 대치)는 이해가 쪼~금 복잡할 수도 있어.
왜냐면 5가지 역할이 있기 때문인데, 그냥 동사라고 생각하면 될거야.
(1) {주어}의 [특성] 설명. e.g.) {The sun} [shines].<- 태양이 빛난다.
(2) {주어}와 [주격 보어]의 관계 연결. e.g.) {John} is [a student]. <- John은 학생이다.
(3) {주어}와 [목적어]의 관계 연결. e.g.) {I} hate [her]. <- 나는 그녀를 싫어한다.
(4) {주어}와 [간접목적어+직접목적어]의 관계 연결. e.g.) {I} bought [her (+) a car]. <-나는 그녀에게 차를 사주었다.
(5) {주어}와 [목적어+목적격보어]의 관계 연결. e.g.) {She} believes [him (+) an worm].<- 그녀는 그가 벌레인 것을 믿는다.
'Tip & PD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어문법 4형식 끝내기 (0) | 2014.11.06 |
---|---|
접속 차단으로 막힌 사이트 초간단 뚫기.tip (0) | 2014.10.17 |
아마존(amazon.com) 해외 직구 하는 간단 방법을 알아보자 (0) | 2014.10.05 |
간단한 인터넷 우회접속 방법 (0) | 2014.07.27 |
마그넷 주소만으로 토렌트 파일 얻기 Tip (0) | 2014.07.27 |
Please, enter keywords : ex) Jessica alba , Blake lively , X file , torrent , AV star , Soranet
Source by www.findxfile.com
Source by www.findxfile.com